분립체(粉粒體)를 깔때기 등에서 조용하게 평면상에 떨어뜨리면 원뿔 모양으로 쌓이는데 이 원뿔의 모선(母線)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그 분립체의 안식각이라고 하며 분립체의 취급상 중요한 특성이라고 생각되고 있다. 이 안식각은 분립체의 보다 기초적인 특성값인 내부 마찰각(⇀ 내부 마찰)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주 같은 것으로 취급되는데 부착력이 없는 입체(粒體)에서는 안식각 쪽이 약간 작은 것이 보통이다.
분립체의 종류 | 안식각(°) |
---|---|
쌀 종류 |
35 |
콩 종류 |
25 |
갈탄 |
35~50 |
시멘트 |
40 |
석회석 |
30~45 |
모래(12~20메시) |
35.9 |
모래(30~50메시) |
34.2 |
모래(80~100메시) |
35.1 |
그런데 안식각은 특히 미세한 분체(粉體)로 되면 부착력이 증대하고 특히 습기 등 외기(外氣)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되어 예를 들면 미분탄(微粉炭)에서는 표면 수분이 10%로 되면 안식각은 거의 90° 가까이 된다고 한다. 분립체를 공업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안식각을 작게 한 쪽이 취급하기 쉬운 것이 보통인데 이를 위해서는 분립체에 진동을 가하거나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이 사용된다.
안식각 측정 도구
'CAE일반 > 용어 사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M(Discrete Element Method) - 1 (0) | 2018.10.11 |
---|---|
브라질 너트 효과 (Brazil nut effect) (0) | 2018.10.11 |
점성 (viscosity) (0) | 2018.10.10 |
안식각 (angle of repose) (0) | 2018.10.10 |
Overset mesh (0) | 2018.10.08 |
공극률 (Porosity) (0) | 2018.10.08 |